양궁 - 사이클 ‘金행진’엔 땀, 그리고… - 동아닷컴
본문
양궁 - 사이클 ‘金행진’엔 땀, 그리고…
■‘활의 국산화’ 완전 성공
확실한 AS로 기록 쑥쑥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때다. 미국의 세계적인 양궁 제조업체 호이트 사는 최고 품질의 활을 자국 선수들에게만 제공했다. 한국남자양궁대표팀 선수들도 이 활을 구입하려 했으나 “팔지 않겠다”는 데야 어쩔 도리가 없었다. 여자 선수들은 일본의 야마하(현재는 양궁 사업 철수)사가 만든 활을 사용했다.
여자는 개인전(김경욱)과 단체전에서 모두 금메달을 땄다. 그러나 남자는 단체전 은메달에 그쳤다. 반면 미국은 남자 개인전(저스틴 후시)과 단체전에서 두 개의 금메달을 가져갔다.
그해 겨울 대한양궁협회는 특단의 조치를 내린다. ‘활의 자주화’를 선언한 것이다. 양궁협회는 “1997년부터 초등학생과 중학생은 국내 대회에서 외제 활을 사용할 수 없다”는 지침을 내렸다.
처음엔 반대도 적지 않았다. 그러나 시간이 갈수록 한국의 두 개뿐인 활 제조업체 ‘삼익스포츠’와 ‘윈앤윈’은 좋은 품질의 제품을 생산해 냈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 처음으로 한국 선수 모두 ‘메이드 인 코리아’가 새겨진 활을 들고 경기에 나섰다. 여자는 개인전(윤미진)과 단체전을 석권했고, 남자는 단체전 금메달을 땄다. 4년 뒤 열린 아테네 올림픽에서도 한국 양궁은 4종목 중 3개의 금메달(여자 2개, 남자 1개)을 휩쓸었다.
이번 도하 아시아경기에서도 한국은 국산 활로 승승장구했다. 11일 여자 개인전의 박성현, 12일 남자 개인전의 임동현이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12일 루세일 양궁장에서 만난 많은 외국 선수는 한국제 활을 사용하고 있었다. 얼핏 봐도 반이 넘었다. 인도의 아바라이 와자 감독은 “우리 팀 8명의 선수 중 5명이 한국 활을 쓴다”며 “조만간 한 업체에서 신제품이 출시된다고 해 기대된다”고 말했다.
최고 장비를 자유롭게 쓸 수 있다는 것은 큰 장점이다. 선수들이 쓰는 활은 대개 한 달 정도 지나면 탄력이 떨어진다. 그때마다 두 업체는 수리해 주거나 교환해 준다. 이번 대회를 앞두고도 한국 선수들은 철저한 서비스를 받았다.
서거원 대한양궁협회 전무는 “세계의 톱 랭커 90% 이상이 한국 활을 사용한다고 보면 된다. 10년 전 일을 생각하면 참으로 자랑스럽다. 선수도, 활도 모두 ‘메이드 인 코리아’가 세계를 제패하고 있다”고 말했다.
도하=이헌재 기자 uni@donga.com
■‘기어 톱니’ 늘린 장선재
스피드 보강 3관왕 도전
‘톱니 수의 비밀.’
사이클 2관왕 장선재(22·대한지적공사)가 앞 기어의 톱니 수를 늘린 사이클로 3관왕 도전에 나선다. 그는 9일 남자 4km 개인추발과 12일 단체추발에서 금메달을 따 2관왕이 됐다.
장선재는 올해 자전거의 앞뒤 기어 비율을 재조정했다. 그 결과 앞쪽 기어의 톱니가 원래보다 1.5개 늘어났다.
앞 기어의 톱니가 한 개 늘어나면 자전거 바퀴가 한 번 구르는 동안 달리는 거리는 30cm가량 늘어난다. 대신 그만큼 출발 때 힘이 든다.
한국 선수들은 그동안 앞쪽 52개, 뒤쪽 15개 톱니의 기어를 사용해 왔다.
앞쪽 기어의 톱니 수를 더 높이지 못한 것은 양재환(49) 대표팀 감독의 표현에 따르면 무서워서 엄두를 못 냈다는 것. 이런 와중에 올해 큰 결심을 했고 11월 호주에서 열린 월드컵 대회부터 53.5개에 도전했다. 결과는 대성공이어서 기록 경신이 이어졌다. 장선재는 이번 아시아경기 4km 개인추발에서 4분 30초 355의 한국 신기록을 세웠다. 단체추발에서도 4분 12초 746의 아시아 신기록을 세웠다.
톱니를 늘릴 경우의 체력 소모를 감당하기 위해 대표팀 선수들은 그동안 강원도 태백 등지에서 고지대 훈련을 했고 1개월에 4000km의 훈련량을 소화했다. 1년간 4만8000km. 서울∼부산을 100회 이상 달린 셈이다. 이 정도는 해야 많아진 톱니에 적응하는 근력과 심폐 기능이 유지된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유럽 선수들에 비하면 아직도 부족하다. 유럽 선수들은 앞쪽 톱니 55개짜리를 쓴다. 국내 선수들도 내년에는 55개에 도전할 계획이다. 톱니가 늘어나면 스타트가 늦어지는 대신 후반 가속도를 낼 때 유리하다.
장선재는 14일 박성백(21)과 호흡을 맞춰 50km 매디슨에서 세 번째 금메달 도전에 나선다. 이 경기는 두 명이 한 팀을 이뤄 교대로 달리면서 구간별로 순위에 따라 포인트를 쌓는 경기다. 매디슨은 교대하는 순간순간 빠른 스타트가 필요하기 때문에 개인이나 단체 추발 때보다는 톱니를 한 개 줄여 52.5개짜리를 쓸 예정. 그러나 이것도 이전 매디슨 경기 때 보다는 한 개가 늘어난 것이다.
비록 톱니는 한 개 차이지만 그 뒤에는 엄청난 훈련량이 숨어 있다.
도하=이원홍 기자 bluesky@donga.com
확실한 AS로 기록 쑥쑥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때다. 미국의 세계적인 양궁 제조업체 호이트 사는 최고 품질의 활을 자국 선수들에게만 제공했다. 한국남자양궁대표팀 선수들도 이 활을 구입하려 했으나 “팔지 않겠다”는 데야 어쩔 도리가 없었다. 여자 선수들은 일본의 야마하(현재는 양궁 사업 철수)사가 만든 활을 사용했다.
여자는 개인전(김경욱)과 단체전에서 모두 금메달을 땄다. 그러나 남자는 단체전 은메달에 그쳤다. 반면 미국은 남자 개인전(저스틴 후시)과 단체전에서 두 개의 금메달을 가져갔다.
그해 겨울 대한양궁협회는 특단의 조치를 내린다. ‘활의 자주화’를 선언한 것이다. 양궁협회는 “1997년부터 초등학생과 중학생은 국내 대회에서 외제 활을 사용할 수 없다”는 지침을 내렸다.
처음엔 반대도 적지 않았다. 그러나 시간이 갈수록 한국의 두 개뿐인 활 제조업체 ‘삼익스포츠’와 ‘윈앤윈’은 좋은 품질의 제품을 생산해 냈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 처음으로 한국 선수 모두 ‘메이드 인 코리아’가 새겨진 활을 들고 경기에 나섰다. 여자는 개인전(윤미진)과 단체전을 석권했고, 남자는 단체전 금메달을 땄다. 4년 뒤 열린 아테네 올림픽에서도 한국 양궁은 4종목 중 3개의 금메달(여자 2개, 남자 1개)을 휩쓸었다.
이번 도하 아시아경기에서도 한국은 국산 활로 승승장구했다. 11일 여자 개인전의 박성현, 12일 남자 개인전의 임동현이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12일 루세일 양궁장에서 만난 많은 외국 선수는 한국제 활을 사용하고 있었다. 얼핏 봐도 반이 넘었다. 인도의 아바라이 와자 감독은 “우리 팀 8명의 선수 중 5명이 한국 활을 쓴다”며 “조만간 한 업체에서 신제품이 출시된다고 해 기대된다”고 말했다.
최고 장비를 자유롭게 쓸 수 있다는 것은 큰 장점이다. 선수들이 쓰는 활은 대개 한 달 정도 지나면 탄력이 떨어진다. 그때마다 두 업체는 수리해 주거나 교환해 준다. 이번 대회를 앞두고도 한국 선수들은 철저한 서비스를 받았다.
서거원 대한양궁협회 전무는 “세계의 톱 랭커 90% 이상이 한국 활을 사용한다고 보면 된다. 10년 전 일을 생각하면 참으로 자랑스럽다. 선수도, 활도 모두 ‘메이드 인 코리아’가 세계를 제패하고 있다”고 말했다.
도하=이헌재 기자 uni@donga.com
■‘기어 톱니’ 늘린 장선재
스피드 보강 3관왕 도전
‘톱니 수의 비밀.’
사이클 2관왕 장선재(22·대한지적공사)가 앞 기어의 톱니 수를 늘린 사이클로 3관왕 도전에 나선다. 그는 9일 남자 4km 개인추발과 12일 단체추발에서 금메달을 따 2관왕이 됐다.
장선재는 올해 자전거의 앞뒤 기어 비율을 재조정했다. 그 결과 앞쪽 기어의 톱니가 원래보다 1.5개 늘어났다.
앞 기어의 톱니가 한 개 늘어나면 자전거 바퀴가 한 번 구르는 동안 달리는 거리는 30cm가량 늘어난다. 대신 그만큼 출발 때 힘이 든다.
한국 선수들은 그동안 앞쪽 52개, 뒤쪽 15개 톱니의 기어를 사용해 왔다.
앞쪽 기어의 톱니 수를 더 높이지 못한 것은 양재환(49) 대표팀 감독의 표현에 따르면 무서워서 엄두를 못 냈다는 것. 이런 와중에 올해 큰 결심을 했고 11월 호주에서 열린 월드컵 대회부터 53.5개에 도전했다. 결과는 대성공이어서 기록 경신이 이어졌다. 장선재는 이번 아시아경기 4km 개인추발에서 4분 30초 355의 한국 신기록을 세웠다. 단체추발에서도 4분 12초 746의 아시아 신기록을 세웠다.
톱니를 늘릴 경우의 체력 소모를 감당하기 위해 대표팀 선수들은 그동안 강원도 태백 등지에서 고지대 훈련을 했고 1개월에 4000km의 훈련량을 소화했다. 1년간 4만8000km. 서울∼부산을 100회 이상 달린 셈이다. 이 정도는 해야 많아진 톱니에 적응하는 근력과 심폐 기능이 유지된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유럽 선수들에 비하면 아직도 부족하다. 유럽 선수들은 앞쪽 톱니 55개짜리를 쓴다. 국내 선수들도 내년에는 55개에 도전할 계획이다. 톱니가 늘어나면 스타트가 늦어지는 대신 후반 가속도를 낼 때 유리하다.
장선재는 14일 박성백(21)과 호흡을 맞춰 50km 매디슨에서 세 번째 금메달 도전에 나선다. 이 경기는 두 명이 한 팀을 이뤄 교대로 달리면서 구간별로 순위에 따라 포인트를 쌓는 경기다. 매디슨은 교대하는 순간순간 빠른 스타트가 필요하기 때문에 개인이나 단체 추발 때보다는 톱니를 한 개 줄여 52.5개짜리를 쓸 예정. 그러나 이것도 이전 매디슨 경기 때 보다는 한 개가 늘어난 것이다.
비록 톱니는 한 개 차이지만 그 뒤에는 엄청난 훈련량이 숨어 있다.
도하=이원홍 기자 bluesk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