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下는 한국 자유민주주의 뿌리… 그의 좌우협력 정신 절실” <동아닷컴>
본문
“古下는 한국 자유민주주의 뿌리… 그의 좌우협력 정신 절실”
조종엽기자
입력 2015-10-20 03:00:00 수정 2015-10-20 04:59:43
송진우 선생 서거 70주기 추모 학술 세미나 20일 열려
1922년 3월 18일 전 중앙학교 교장인 고하 송진우 선생(왼쪽에서 세 번째)이 중앙고등보통학교 제1회 졸업식에서 졸업생 앞에 앉아 있다. 설립자 인촌 김성수 선생과 최두선 전 교장(왼쪽부터), 현상윤 교장(오른쪽)의 모습도 보인다. 고하는 중앙학교 숙직실에서 민족 대표들과 3·1운동을 준비했다. 동아일보DB
《 ‘…경제적으로 근로 대중의 복리를 증진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대자본을 요하고 독점성을 띠운 중요 산업은 국영 또는 공영으로 해야만 할 것이오. 토지 정책도…일본인 소유 토지를 몰수해 농민에게 경작권을 나눠주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조선인 소유 투지도 소유를 극도로 제한하는 동시에 매매겸병(賣買兼倂)을 금하여 경작권의 전국적 시설을 촉진하여….’ 》
광복 뒤 발표된 이 정견은 언뜻 보면 ‘좌파’의 것으로 보인다. 이 글은 3·1운동을 계획했다가 옥고를 치렀고 동아일보 3, 6, 8대 사장을 지낸 고하 송진우(古下 宋鎭禹·1890∼1945) 선생이 1945년 12월 21일 한국민주당 수석총무 자격으로 발표한 정견이다.
광복 뒤 발표된 이 정견은 언뜻 보면 ‘좌파’의 것으로 보인다. 이 글은 3·1운동을 계획했다가 옥고를 치렀고 동아일보 3, 6, 8대 사장을 지낸 고하 송진우(古下 宋鎭禹·1890∼1945) 선생이 1945년 12월 21일 한국민주당 수석총무 자격으로 발표한 정견이다.
고하가 암살(1945년 12월 30일)당하기 며칠 전 ‘국민대회준비회’ 사무실(현 광화문 일민미술관 내)을 나서고 있다. 동아일보DB
광복 뒤 좌우 협력을 통한 민주주의 정부 수립을 추진하다 1945년 12월 극우 청년들에게 암살된 고하의 서거 70주기를 맞아 추모 학술 세미나가 열린다. ‘고하 송진우 선생 기념사업회’(이사장 김창식)는 동아일보와 국가보훈처, 광복회 후원으로 20일 오후 1시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고하 송진우 선생의 항일독립운동과 건국에 관한 이념과 사상’을 연다.
강원택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는 발제문에서 고하의 유연한 정치사상과 현실적인 노선에 주목했다. 강 교수는 “고하는 공산주의를 분명히 거부하면서도 정치, 경제적으로 특정 계급이나 개인에 힘이 집중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보고, 경제적으로 온건한 입장의 좌파들과도 공감대를 갖고 있었다”며 “그가 암살되지만 않았다면 이후 한국 정치에서 좌우 극단주의 세력이 득세하는 이념의 양극화를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 교수는 “이상주의에 지배됐던 일부 민족주의자와 달리 고하는 현실 감각을 갖추고 현실 권력이었던 미군정과 대화를 지속했다”고 평가했다.
박명림 연세대 지역학협동과정 교수는 “고하와 동아일보 설립자인 인촌 김성수가 기초를 세운 초기 자유주의는 건국 이후 한국의 가장 강력한 자유 민주주의 담론과 세력으로 자리 잡았고, 급진 공산주의와 우파 독재에 대한 가장 체계적인 대안이었다”고 말했다.
강원택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는 발제문에서 고하의 유연한 정치사상과 현실적인 노선에 주목했다. 강 교수는 “고하는 공산주의를 분명히 거부하면서도 정치, 경제적으로 특정 계급이나 개인에 힘이 집중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보고, 경제적으로 온건한 입장의 좌파들과도 공감대를 갖고 있었다”며 “그가 암살되지만 않았다면 이후 한국 정치에서 좌우 극단주의 세력이 득세하는 이념의 양극화를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 교수는 “이상주의에 지배됐던 일부 민족주의자와 달리 고하는 현실 감각을 갖추고 현실 권력이었던 미군정과 대화를 지속했다”고 평가했다.
박명림 연세대 지역학협동과정 교수는 “고하와 동아일보 설립자인 인촌 김성수가 기초를 세운 초기 자유주의는 건국 이후 한국의 가장 강력한 자유 민주주의 담론과 세력으로 자리 잡았고, 급진 공산주의와 우파 독재에 대한 가장 체계적인 대안이었다”고 말했다.
‘문제는 자유권의 병적 발전, 곧 불합리 무절제한 자본주의를 저주할 뿐이다. …자유권은 정치적 생존권이며, 생존권은 경제적 자유권이다. …자유권이 없는 곳에 개성이 확충될 수 없으며, 생존권이 없는 곳에 평등적 문화를 완성할 수 없다.’
1926년 동아일보 주필이던 고하는 3월 5일자 신문에 국제농민본부가 조선 농민에게 전하는 ‘3·1운동 7주년 기념사’ 를 실었다가 일제로부터 징역 6개월의 실형을 선고받았다. 동아일보DB
고하가 1925년 동아일보에 게재한 논설 ‘자유권과 생존권’ 중 일부다. 이처럼 좌우를 포괄하는 고하의 사상은 일제강점기부터 일관된 것이었다. 윤덕영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관은 “일본 유학을 통해 영국의 신자유주의를 받아들인 고하는 자유경쟁의 불공평을 지적하고 민족운동을 수정해 사회운동을 내부로 포괄하려 했다”고 말했다.
일제강점기 고하는 합법적 민족 정치단체 건설 논의의 주도자 중 한 명이었지만 타협적 자치를 주장하는 친일 정치세력과는 극단적으로 대립했다. 그는 1924년 동아일보를 통해 친일 정치세력이 결성한 ‘각파유지연맹’을 비판했다 가 인촌 선생과 함께 친일파 박춘금 등으로부터 폭행을 당하고 권총으로 위협받는 이른바 ‘식도원 육혈포 협박사건’을 겪기도 했다.
이철순 부산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고하는 자치제를 관철해 대중의 정치적 자각과 민족주의 세력의 정치적 결집을 이루고 이를 통해 조선 독립을 쟁취해 나가려 했다”고 말했다.
조종엽 기자 jjj@donga.com
이철순 부산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고하는 자치제를 관철해 대중의 정치적 자각과 민족주의 세력의 정치적 결집을 이루고 이를 통해 조선 독립을 쟁취해 나가려 했다”고 말했다.
조종엽 기자 jjj@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