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0 6·10 만세운동은 1926년 6월 10일 조선의 마지막 임금인 순종 황제의 인산일(출상일)을 기해 일어난 독립운동으로 병인년에 일어났다고 하여 병인만세운동이라고도 한다. 중앙고보의 이광호·이선호·이황희, 연희전문의 박하균·이병립, 경성대학의 이천진, 천도교의 권동진·박내원·박내홍·백명천·손재기·양재식, YMCA의 박두종, 사회주의 계열인 권오설·김단야·박민영·이지탁 등이 주도적으로 활약했다.
- 서울 안국동 민창식의 집(감고당)에서 ‘일본 제국주의를 타파하라, 우리의 교육은 우리들 손에 맡겨라, 토지는 농민에게 돌리라, 8시간 노동제를 채택하라’는 내용이 담긴 10만매의 전단지를 인쇄하고, 태극기를 준비하였으며, 3·1운동처럼 극민들이 많이 모이는 황제 국장일을 거사일로 택했다.
* 일본정부와 조선총독부는 지난 3·1운동의 일에 비춰 철저한 경계태세를 보였다. 총독부 산하 전 경찰과 일본군을 경비에 투입하였다. 특히 서울로 일본군 7천여명을 배치하는 한편 인천과 부산에 함대를 대기시켰다.
- 이날 황제의 상여가 종로 단성사 앞을 통과할 때 중앙고보 학생들이 전단을 뿌리며 만세를 부르기 시작하자, 국민들이 호응하여 독립만세를 불렀으며, 이 만세운동은 곧바로 서울에서 전국으로 확산되면서, 전북 순창과 군산, 평북 정주, 충남 홍성과 공주 등지에서도 일어났다. 만세운동은 3·1운동만큼은 아니었지만 우리 민족의 독립의지와 열망을 보여준 민족운동이었다.
* 서울에서 박하균·이병립 등 2백여명이 체포되었으며, 전국적으로 1천여명이 체포되었다.
[출처] 임정시대와 독립운동사(3): 1919년 3.1운동 이후 국내의 독립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