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font color=blue>김우룡</font>/방송이 갈등 증폭시켜서야 - 동아닷컴
본문
[시론]김우룡/방송이 갈등 증폭시켜서야
대통령이 선거법을 위반했다고 한다면 KBS는 방송법을 위반하고 있다. 필자는 요 며칠 TV를 보면서 방송학을 가르치는 선생임을 스스로 부끄럽게 생각하고 있다. 방송보도는 객관적이고 정확하고 형평의 원칙에 맞아야 한다고 늘 강조해 왔는데 우리 공영방송은 강의실의 원론을 무색하게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토요일 KBS는 탄핵 관련 특집을 5개나 긴급 편성했고, 그 방영시간은 하루 20시간30분 가운데 12시간이나 됐다. 야당이 KBS와 MBC를 방문해 편파적인 불공정 보도에 대해 항의하기에 이르렀다. 야당은 언론 탓으로 탄핵의 역풍을 맞아 흔들리고 있다는 주장이고, 여당은 상대방의 항의를 언론에 대한 협박으로 몰아세우고 있다.
▼탄핵정국 여론 몰아가기 노골적 ▼
탄핵 가결은 모든 국민에게 큰 충격이 아닐 수 없다. 국가적으로 매우 불행한 일이다. 그렇다고 언론이 나서서 이를 총선을 앞둔 야당의 정략이라든가 민생을 팽개친 횡포라는 식의 보도로 일관해서야 되겠는가. 헌법과 법률에 따라 적법하게 처리되었다면 그 사안 자체는 존중돼야 한다. 방송사가 나서 탄핵의 부당성을 홍보한다든가 국민 불복종운동을 부추기는 듯한 보도 태도는 경계해야 할 것이다.
일요일 밤 9시 KBS 뉴스를 보자. 머리기사가 ‘민주당 내홍 조짐’이다. 탄핵에 반대한 의원 네 명이 지도부 총퇴진을 들고 나왔다는 뉴스다. 탄핵 가결을 주도한 당 대표는 국민에게 사죄하고 나라 안정을 위해 사퇴해야 한다는 몇몇 의원의 주장을 크게 부각시켰다. 두 번째 아이템은 한나라당의 비대위 구성과 ‘소장파 반발’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 반면 열린우리당은 장외투쟁을 삼가고 ‘다시 민생으로’ 가고 있다면서 “조속한 수습과 안정을 기하겠다”는 당 대표의 코멘트를 곁들여 긍정적으로 차별화했다. 그뿐 아니다. 두 공영방송사는 탄핵을 주도한 야당을 규탄하는 촛불집회 현장을 찾아가 마이크를 들이댄다.
시위소식을 보도대상이 아니라고 말할 사람은 없다. 그러나 ‘탄핵무효화, 민주수호’에 언론이 무작정 편승해도 좋을까. 탄핵무효화는 운동이나 주장일 뿐 법질서와는 상치된다. 대통령 탄핵의 법리는 헌법재판소가 가릴 일이지 언론이 예단할 일은 결코 아니기 때문이다.
방송사는 친노(親盧) 인사들을 동원해 국민 분노를 유발하고 반대여론을 증폭시키고 있다. 탄핵 가결이 국정혼란을 가져오는 게 아니라 방송사의 편향된 보도가 국민 불안과 혼란을 가중시키는 형국이다.
나치정권의 대중 선전술의 효과를 분석한 미국의 선전분석연구소는 나치의 주요한 7가지 선전기법 가운데 ‘나쁜 이름으로 부르기’를 들었다. 증거가 있는 것도 아니고 명확한 검토도 해보지 않고 특정인이나 특정사안에 대해 나쁜 칭호를 붙여 상대방의 의견이나 행위를 반박하거나 비난하는 데 사용하는 술책이 바로 이것이다.
일상생활에서도 어떤 이를 사기꾼, 플레이보이, 거짓말쟁이라고 자주 부르면 사실 여부에 관계없이 그런 사람으로 치부되기 쉽다. 이 기법은 지금도 정치판에서 흔히 쓰일 뿐 아니라 선거철에는 더 극성을 부린다.
▼탄핵 법리 헌법재판소가 가릴 일 ▼
사람들은 말한다. “국민이 뽑은 대통령에 대해 감히 어떻게….” 그러니 국회를 탄핵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국회의원은 누가 뽑았는가. 국회의원도 바로 국민이 뽑지 않았는가. 헌법기관인 국회의 중요 책무는 입법과 행정수반인 대통령에 대한 감시다.
‘총칼 없는 의회 쿠데타’라는 말은 그럴 듯한 선전술책은 될 수 있다. 그러나 국회법에 따라 정당하게 가결됐다면 당당하게 승복하는 아름다움도 있어야 한다. 오죽했으면 국회의장조차 “다 자업자득”이라고 했을까.
국민은 묻고 있다. “KBS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KBS는 ‘노사모’ 방송인가?” 정연주 사장은 분명하게 답해야 한다.
김우룡 한국외국어대 교수·언론학
대통령이 선거법을 위반했다고 한다면 KBS는 방송법을 위반하고 있다. 필자는 요 며칠 TV를 보면서 방송학을 가르치는 선생임을 스스로 부끄럽게 생각하고 있다. 방송보도는 객관적이고 정확하고 형평의 원칙에 맞아야 한다고 늘 강조해 왔는데 우리 공영방송은 강의실의 원론을 무색하게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토요일 KBS는 탄핵 관련 특집을 5개나 긴급 편성했고, 그 방영시간은 하루 20시간30분 가운데 12시간이나 됐다. 야당이 KBS와 MBC를 방문해 편파적인 불공정 보도에 대해 항의하기에 이르렀다. 야당은 언론 탓으로 탄핵의 역풍을 맞아 흔들리고 있다는 주장이고, 여당은 상대방의 항의를 언론에 대한 협박으로 몰아세우고 있다.
▼탄핵정국 여론 몰아가기 노골적 ▼
탄핵 가결은 모든 국민에게 큰 충격이 아닐 수 없다. 국가적으로 매우 불행한 일이다. 그렇다고 언론이 나서서 이를 총선을 앞둔 야당의 정략이라든가 민생을 팽개친 횡포라는 식의 보도로 일관해서야 되겠는가. 헌법과 법률에 따라 적법하게 처리되었다면 그 사안 자체는 존중돼야 한다. 방송사가 나서 탄핵의 부당성을 홍보한다든가 국민 불복종운동을 부추기는 듯한 보도 태도는 경계해야 할 것이다.
일요일 밤 9시 KBS 뉴스를 보자. 머리기사가 ‘민주당 내홍 조짐’이다. 탄핵에 반대한 의원 네 명이 지도부 총퇴진을 들고 나왔다는 뉴스다. 탄핵 가결을 주도한 당 대표는 국민에게 사죄하고 나라 안정을 위해 사퇴해야 한다는 몇몇 의원의 주장을 크게 부각시켰다. 두 번째 아이템은 한나라당의 비대위 구성과 ‘소장파 반발’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 반면 열린우리당은 장외투쟁을 삼가고 ‘다시 민생으로’ 가고 있다면서 “조속한 수습과 안정을 기하겠다”는 당 대표의 코멘트를 곁들여 긍정적으로 차별화했다. 그뿐 아니다. 두 공영방송사는 탄핵을 주도한 야당을 규탄하는 촛불집회 현장을 찾아가 마이크를 들이댄다.
시위소식을 보도대상이 아니라고 말할 사람은 없다. 그러나 ‘탄핵무효화, 민주수호’에 언론이 무작정 편승해도 좋을까. 탄핵무효화는 운동이나 주장일 뿐 법질서와는 상치된다. 대통령 탄핵의 법리는 헌법재판소가 가릴 일이지 언론이 예단할 일은 결코 아니기 때문이다.
방송사는 친노(親盧) 인사들을 동원해 국민 분노를 유발하고 반대여론을 증폭시키고 있다. 탄핵 가결이 국정혼란을 가져오는 게 아니라 방송사의 편향된 보도가 국민 불안과 혼란을 가중시키는 형국이다.
나치정권의 대중 선전술의 효과를 분석한 미국의 선전분석연구소는 나치의 주요한 7가지 선전기법 가운데 ‘나쁜 이름으로 부르기’를 들었다. 증거가 있는 것도 아니고 명확한 검토도 해보지 않고 특정인이나 특정사안에 대해 나쁜 칭호를 붙여 상대방의 의견이나 행위를 반박하거나 비난하는 데 사용하는 술책이 바로 이것이다.
일상생활에서도 어떤 이를 사기꾼, 플레이보이, 거짓말쟁이라고 자주 부르면 사실 여부에 관계없이 그런 사람으로 치부되기 쉽다. 이 기법은 지금도 정치판에서 흔히 쓰일 뿐 아니라 선거철에는 더 극성을 부린다.
▼탄핵 법리 헌법재판소가 가릴 일 ▼
사람들은 말한다. “국민이 뽑은 대통령에 대해 감히 어떻게….” 그러니 국회를 탄핵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국회의원은 누가 뽑았는가. 국회의원도 바로 국민이 뽑지 않았는가. 헌법기관인 국회의 중요 책무는 입법과 행정수반인 대통령에 대한 감시다.
‘총칼 없는 의회 쿠데타’라는 말은 그럴 듯한 선전술책은 될 수 있다. 그러나 국회법에 따라 정당하게 가결됐다면 당당하게 승복하는 아름다움도 있어야 한다. 오죽했으면 국회의장조차 “다 자업자득”이라고 했을까.
국민은 묻고 있다. “KBS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KBS는 ‘노사모’ 방송인가?” 정연주 사장은 분명하게 답해야 한다.
김우룡 한국외국어대 교수·언론학
댓글목록
모든사안을 국민을 담보로 이야기 하는것은 합당치 않다고 봄니다 . 개인의 의견으로 이야기 하였으면 합니다.